KR920005566B1 -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 및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잡초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 및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잡초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66B1
KR920005566B1 KR1019890016893A KR890016893A KR920005566B1 KR 920005566 B1 KR920005566 B1 KR 920005566B1 KR 1019890016893 A KR1019890016893 A KR 1019890016893A KR 890016893 A KR890016893 A KR 890016893A KR 920005566 B1 KR920005566 B1 KR 92000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drechslera
ferm
composition
s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330A (ko
Inventor
마사노부 아리타
겐이치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미츠이 도아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도아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미츠이 도아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 및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잡초의 방제 방법
본 발명은 잡초, 특히 경제농작물, 예를들면 벼 및 밀과 같은 그라미네아(Gramineae)의 중요 농작물을 경작하는데 유해잡초인 피(Echnochloa)의 방제에 유효한 식물병원의 생균세포 또는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 및 그러한 균의 대사산물을 사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잡초, 식물병 및 해충의 방제 방법과 관련하여, 화학의 발달로 말미암아 최근 약 100년간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그 결과, 종래의 경작적 방제 방법이 화학적 방제방법으로 바뀌었다. 특히, 1990년대 중반에 합성유기 살충제, 예를들면 DDT의 급속한 전파로 인하여 작물수확량의 증가, 품질개량, 노동력절감등을 도모하게 됨으로써 세계식량 생산이 급속히 개량되었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이러한 합성 유기 살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 오염과 후천적 살충제 내성을 가진 병원체 및 해충의 발생으로 인한 방제효과의 감소를 비롯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합성살충제의 개발은 고활성살충제를 목표로하게 되었다. 즉, 현재는 잔류율, 환경오염등에 충분히 유의하면서 포유동물에 무해하며 저살포율로도 효과가 우수한 살충제를 개발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농작물을 살충제없이 재배하는 소위 유기 농업 시스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 유기 살충제의 인체에 대한 영향과 자연환경에 대한 영향에 관심이 매우 크며, 최근에 미생물 살충제의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연구 및 개발작업의 대부분이 미생물살충제와 관련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천적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방법과 윤작과 같은 경작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작적 방제 방법을 혼용하는 전방제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상황에서, 생물학적 방제방법의 확립이 요망되었다. 특히 미생물의 생세포를 직접 사용하는 미생물 살충제와 미생물에 의해 제조된 생리적 활성물질을 사용하는 미생물유래살충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제초제 분야에서, 최근에, 잡초에 대한 병원체를 이용하는 진균성 제초제의 예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미 시판되고 있는 진균성 제초제에는 "데바인(DeVine)"(상품명 : 아보트 레보라토리스 리미티드(Abbott Laboratories Ltd.)제품) 및 "콜레고(Collego)"(상품명 : 에코겐 리미티드(Ecogen Ltd.)제품)이 있다. 이 두가지의 진균성 제초제는 각각 교살덩굴(strangle Vine)과 북부 결합덩굴(northern jointvetch)의 방제에 사용된다. 또한, 땅콩 및 콩과의 병충해방제에 유효한 진균성제초제는 미코겐 리미티드(Mydogen Ltd.)로부터 곧 시판될 예정이다. 벼 및 밀과 같은 중요 농작물의 재배에 유해한 잡초인 피종(Echinochloa spp.)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진균성 제초제 또는 미생물계 제초제는 아직 전혀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같은 현재의 농작물생산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합성제초제를 대신할 수 있는 신규의 잡초 방제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벼 및 밀과같은 경제농작물의 재배에 유해한 잡초인 피종(Echinochloa spp.)의 방제에 유효한 병원체로서 진균인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특정 신규 균주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생균세포 또는 이것이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잡초 방제 조성물과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생균세포 또는 대사 산물을 사용하는 잡초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병원체인 드레크슬레종(Drechslera spp.)은 강피에 대한 특이병원성을 발휘한다. 진균성 제초제로서 이러한 미생물들을 사용함으로써 인접한 경제농작물에 역효과를 미치는 일없이 유해잡초인 강피를 방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하는데 유용한 병원체는 자연 발생하는 각종 미생물로부터 선택되기 때문에 합성 유기 제초제에 의한 환경 오염문제가 없으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지대와 논의 유해 잡초인 강피를 방제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강피에 대한 병원체에 관심을 갖고 이러한 유형의 많은 미생물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곰팡이균인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강피에 대해서는 제초 활성을 가지거나 벼 및 밀과 같은 농작물에 대해서는 병원성을 가지지 않는 병원체임을 발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표적 잡초인 강피는 그라미날레스(Graminales)목의 피(Echinochloa)속에 속하는 식물이며, 특히 에키노클로아 오리지콜라(Echinochloa oryzicola), 에키노클로아 크루스갈리 바르.포르모센시스(Echinochloa crusgalli var. formosensis), 물피(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돌피(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가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s spp.)은 자연 감염된 강피의 병징부분으로부터 수집한 병원체를 순수하게 분리한, 분리된 병원체로부터, 강피에 대해서는 병원성을 가지나 벼와 같은 경제농작물에 대해서는 병원성이 없는 병원체를 선별함으로써 발견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병원체는 자연 감염된 강피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강피와 벼식물에 대한 제초활성과 구충활성을 시험하여 선별하였다.
강피의 방제활성을 가지는 수득된 6종의 균주에 대한 형태학적 확인결과, 이들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3종의 균주; MH-0015(FERM BP-2652), MH-2653(FERM BP-2653), MH-2679(FERM BP-2656)], 드레크슬레라 라베넬리(Drechslera ravenellii)[2종의 균주; MH-0042(RERM BP-2659), MH-0060(FERM BP-2657)]및 드레크슬레라 포아(Drechslera poa)[1종의 균주; MH-0122(FERM BP-2655)]로 분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강피에 대해서만 특이병원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잡초 방제 조성물을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균주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잡초 방제 조성물에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배양된 생균세포를 직접 사용하거나, 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물을 무균 여과하여 그 대사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의 방법에 의하면, 잡초 방제 조성물은 영양 배지에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을 배양하여 얻은 포자를 "트리톤 X-100"(상표명) 또는 "트윈 80"(상품명)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수용액에 현탁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포자는 액체 형태 또는 고체 형태의 영양 배지에서 얻을 수 있다. 액체 배양 배지가 바람직한 경우, 감자-덱스트로스 액체 배양 배지 또는 오트밀액체 배양배지를 세포로 접종시킨다. 여기에서 세포를 성장시킨다. 성장된 세포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득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균사를 분쇄하고 여과지상에 살포한 후 성장하도록 방치하여 포자를 형성시킨다. 한편 고체 배양배지가 바람직한 경우에는, 세포를 감자-덱스트로스 아가배지 또는 오트밀아가배지에서 배양한다. 이어서 기생균사를 증류수로 제거하면,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포자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세포 대사산물이 사용되는 후자의 방법에 의하면,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을 감자-덱스트로스 액체 배양 배지에서 정지 배양시킨다. 얻어진 배양물을 무균 여과하고 세포질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여액을 잡초 방제 조성물로 제제화한다.
유용한 미생물계 잡초 방제 조성물 및 미생물 유래 잡초 방제 조성물은 멸균 조건하에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를 집단 배양하여 효율적으로 포자를 얻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모내기 전후에 토지, 즉 논에 살포하는 경우, 이 잡초 방제 조성물은 강피에 대하여만 선택적인 제초활성을 가지며, 벼, 밀, 보리 및 옥수수와 같은 경제 농작물에 대한 병원성은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은 고선택적 제초활성을 가지며, 환경 오염 문제가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병원체인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유효 병원체의 분리 및 확인
1) 병원체의 분리 방법 :
자연 감피된 강피를 논에서 채집하였다. 개체의 병징부분을 중심으로, 10-20mm 길이의 잎 절편을 절단하였다. 강피의 절편을 1-2초 동안 70% 에틸알코올 용액에 함침시킨 후 유효염소농도가 2%인 차아염소산 나트륨용액에 10분 동안 함침시켜서 강피 절편을 표면 살균시켰다. 강피의 표면살균 절편을 증류수로 3회 세정한 후 빈영양아가배지와 함께 평판상에 놓았다. 25℃에서 72시간 동안 정지배양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해서 성장된 곰팡이균의 균사를 현미경하에서 단균사분리한 후 영양배지상에서 정제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미생물을 사용하여, 강피에 대한 제조활성 및 병원성과 벼에 대한 병원성을 시험하였다.
2) 분리된 미생물의 강피와 벼작물에 대한 제초활성시험 :
강피와 벼를 시험관내에서 1.5엽기까지 성장시켜서 시험 샘플을 준비하였다. 즉, 강피종자와 벼종자를 70% 에틸알코올 용액에 1-2초 동안 함침시킨 후 유효 염소농도가 2%인 치아염소산 나트륨용액에 10분 동안 함침시켜서 종자를 표면 살균시켰다. 이어서 종자를 증류수로 3회 세정하였다. 살균된 종자를 하기 조성의 B5 아가배지를 함유하는 시험관으로 옮겨 식물성장실에서 성장시켰다.
Figure kpo00001
한편, 분리된 미생물을 각각 감자-덱스트로스 아가배양 배지로 이루어진 개별층에 평판 배양하였다. 각층을 살균 처리된 구멍 뚫이로 구멍을 뚫어 종자 세포원으로서의 포자 원판을 얻었다.
포자 원판을 각각 강피모와 벼모를 멸균성장시킨 시험관내의 배양배지에 놓았다. 이들을 식물성장실에서 10일 동안 배양시킨 후, 미생물의 제초활성을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2
3) 분리된 미생물의 강피 및 벼에 대한 병원성 시험 :
강피와 벼를 시험관내에서 1.5엽기까지 성장시켜서 시험 샘플을 준비하였다. 강피종자와 벼종자를 상기 제초활성 시험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면 살균시켰다. 이들을 미리 살균시킨 빈영양액체 배지를 함유하는 시험관에 이식하고 식물 성장시켰다. 한편, 분리된 미생물로부터, 상기 제초활성 시험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접종원으로서 균사원판을 제조하였다.
표적 식물을 미생물접종원으로 접종시킨 후 10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각 미생물의 병원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미생물들[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MH-0015(FERM BP-2652), MH-0042(FERM BP-2659), MH-0060(FERM BP-2657), MH-0122(FERM BP-2655), MH-2653(FERM BP-2653), MH-2679(FERM BP-2656)]은 강피에 대한 높은 제초활성을 갖는다. 분리된 각종 미생물들에는 MH-0001과 같이 강피에 대한 병원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균주, MH-0007과 같이 벼에 대한 병원성만을 나타내는 균주 및 강피와 벼에 대한 높은 병원성을 발휘하는 균주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다수의 미생물들로부터,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균주를 선택하였다. 또한, 표 2에 요약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균주들은 강피에 대한 특히 병원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은 진균성 제초제로서 사용될 때 매우 유리하다.
4) 분리된 미생물의 확인 :
시험 2) 및 3)에서 강피에 대해서는 탁월한 제초 활성 및 병원성을 발휘하나 벼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인정된 6종의 균주 즉 MH-0015(FERM BP-2652), MH-0042(FERM BP-2659), MH-0060(FERM BP-2657), MH-0122(FERM BP-2655), MH-2653(FERM BP-2653), 및 MH-2679(FERM BP-2656)에 대한 확인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균주들의 확인은 미생물을 맥아-아가 배지와 함께 배양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MH-0015(FERM BP-2652), MH-2653(FERM BP-2653), MH-2679(FERM BP-2656)은 28℃에서 7일내에 65-75mm 정도로 큰 직경의 콜로니를 형성하였으며 불규칙한 성장을 보였다. 이 콜로니들은 쥐색을 띠었다. 분생자에는 반혼이 있었으며 그 크기는 폭이 15-17.5㎛, 길이가 87.5-127.5㎛이었다. 이들은 다소 굽은 모양이었다. 분생자는 최대로 9개의 격벽을 가졌으며, 보통 5-7개의 격벽을 가졌다. 분생자병은 직선 모양이었다. 상기 특성들로부터, 이러한 3가지 유형의 미생물은 드레크슐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의 균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MH-0042(FERM BP-2659), 및 MH-0060(FERM BP-2657)은 반흔이 없는 분생자를 가졌으며, 그 크기는 폭이 12-72㎛이고 길이가 40-90㎛이었다. 분생자는 분기되기도 하였다. 분생자의 형상과 관련하여, 다소 굽은 원통형의 분생자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1-5개의 격벽을 가졌다. 전술한 특성들로부터, 이러한 두가지 유형의 미생물은 드레크슬레라 레베넬리(Drechslera ravenellii)의 균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MH-0122(FERM BP-2655)은 28℃에서 7이내에 20-25mm 정도로 큰 콜로니를 형성하였다. 이 콜로니는 밝은 회색을 띠었으나, 이것의 중심부는 회녹색이고 뒷면은 쥐색이었다. 이것의 분생자는 반혼이 없었으며 그 크기는 폭이 20-25㎛이고 길이가 55-95㎛이었다. 분생자는 5-6개의 격벽을 가졌다. 분생자병은 직선 모양이었다. 상기 특성들로부터, 이 미생물은 드레크슬레라 포아(Drechslera poa)의 균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확인 시험은 엠.비.엘리스의 문헌["Demariaceus Hyphomycetes"(608,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England(1971)] 및 엠.비.엘리스의 문헌["More Demariaceus Hyphomycetes"(507, Commom 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England(1976)]을 참고하여 수행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은 국립건강 연구소(일본국)에 의해 편집된 병원체 안정성 방제 안내서에 병원체로서 기술되지 않은 것으로, 포유 동물에 안정한 것으로 믿어진다.
[실시예 2]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생균 세포를 함유하는 잡초 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한 잡초의 방제방법
위에서 분리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6종의 균주를 각각 오트밀-아가배지에 접종한 후, 25℃에서 7일 동안 정지 배양시켰다. 기생 균사를 증류수로 제거하여 포자를 얻었다. 이들을 각각 0.05% "트리톤 X-100"(상품명)용액에106포자/ml의 농도로 현탁시켜서 유효성분으로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각 균주의 생균 세포를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강피와 벼의 종자를 직경 10cm의 PVC 포트에 담긴 흙에 이식하고 각각 1.5 엽기의 모가 되도록 재배하였다. 잡초 방제조성물을 각각 관개하에 포트에 적가하여 포트당 107의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균주의 포자를 접종시켰다. 포트를 주간에는 30℃로, 야간에는 25℃로 유지시켰다. 기후 조정실내에서 20일 동안 재배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04
시험결과, 본 발명을 실하는데 유용한 병원체, 즉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MH-0015(FERM BP-2652), MH-0042(FERM BP-2659), MH-0060(FERM BP-2657), MH-0122(FERM BP-2655), MH-2653(FERM BP-2653), MH-2679(FERM BP-2656)]은 강피에 대한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벼모에 대한 영향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유효성분으로서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 MH-2653(FERM BP-2653)을 함유하는 잡초 방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한 잡초의 방제 방법
감자-덱스트로스액체 배양 배지 100ml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병원체인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 MH-2653(FERM BP-2653)의 종자 배양물을 접종시킨 후, 25℃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얻어진 포자를 배양배지중에 균일화시키고, 여과지상에 살포하여 포자가 형성되도록 3일간 방치하였다. 이 포자를 사용하여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잡초 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50개의 강피 종자를 3개의 1/5000-와그너 포트에 각각 이식하여 1.5 엽기까지 성장시켰다. 관개하에서 포트에 잡초 방제 조성물을 적가하여 포트를 각각 105, 106, 107및 108의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 MH-2653(FERM BP-2653)의 포자로 접종시켰다. 이들을 온도가 15℃ 내지 35℃ 범위내로 조정된 온실내에서 재배하였다. 죽은 모의 비율을 근거로 제초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 MH-2653(RERM BP-2653)은 강피에 대한 탁월한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kpo00005
[실시예 4]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대사산물을 함두하는 잡초 방제 조성물의 제종방법 및 이 조성물에 의한 잡초의 방제 방법
분리된 드레크술레라종(Drechslera spp.)의 6종의 균주를 각각 100ml의 감자-덱스트로스 액체 배양배지에서 10일 동안 25℃로 정지 배양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매트형 포자 샘플을 각각 액체 배양 배지중에 균일화시켰다. 얻어진 배양물을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각각 여과하고 여액을 각각 잡초방제 조성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농축하였다.
한편, 강피 종자를 실시예 1의 제초활성 시험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면 살균시킨후, 5ml의 빈영양 액채 배양배지를 함유하는 시험관에 소량씩 이식하였다. 이들은 식물성장실내에서 1.5 엽기까지 재배하였다. 액상 잡초 방제 조성물을 각각 강피모가 재배된 시험관에 0.5ml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모를 10일간 재배하고 각 조성물의 제초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kpo00006
시험결과,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병원체, 즉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MH0015(FERM BP-2652), MH-0042(FERM BP-2659), MH-0060(FERM BP-2657), MH-0122(FERM BP-2655), MH-2653(FERM BP-2653)및 MH-2679(FERM BP-2656)의 대사물은 강피에 대한 현저한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주요 농작물에 대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병원성 시험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병원체인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은 경제농작물에 대한 병원성이 젼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3과 유사한 방법으로 표적식물로서 벼, 보리 및 옥수수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6에 요약한다.
[표 6]
Figure kpo00007
시험 결과,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은 벼, 밀, 보리 및 옥수수에 대한 병원성이 젼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진균성 제초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Claims (43)

  1.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경제 농작물에 대한 병원성은 없으나 피종(Echinochloa spp.)에 대한 병원성은 가지는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을 포함하는 잡초 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용액 1ml당 104- 109세포의 농도로 현탁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생균 세포를 함유하는 용액 형태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균세포로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포자가 사용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포자가 사용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의 균주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균주가 MH-0015(FERM BP-2652)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53(FERM BP-2653)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79(FERM BP-2656)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라베넬리(Drechslera revenelli)의 균주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42(FERM BP-2659)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60(FERM BP-2657)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포아(Drechslera poa.)의 균주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122(FERM BP-2655)인 조성물.
  14.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되, 상기 대사산물이 경제 농작물에 대한 병원성은 없으나 피(Echinochloa)에 대한 병원성은 가지는 것인 잡초 방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의 균주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15(FERM BP-2652)인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53(FERM BP-2653)인 조성물.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79(FERM BP-2656)인 조성물.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라베넬리(Drechslera revenelli)의 균주인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42(FERM BP-2659)인 조성물.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60(FERM BP-2657)인 조성물.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포아(Drechslera poa.)의 균주인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122(FERM BP-2655)인 조성물.
  24. 경제 농작물에 대한 병원성은 없으나 피종(Echinochloa spp.)에 대한 병원성은 가지는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을 잡초가 있는 곳에 살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잡초의 방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의 균주인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15(FERM BP-2652)인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53(FERM BP-2653)인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79(FERM BP-2656)인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라베넬리(Drechslera ravenelli)의 균주인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42(FERM BP-2659)인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60(FERM BP-2657)인 방법.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포아(Drechslera poa.)의 균주인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122(FERM BP-2655)인 방법.
  34. 경제 농작물에 대한 병원성은 없으나 피종(Echinochloa spp.)에 대한 병원성은 가지는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의 대사산물을 잡초가 있는 곳에 살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잡초의 방제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모노세라스(Drechslera monoceras)의 균주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15(FERM BP-2652)인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53(FERM BP-2653)인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2679(FERM BP-2656)인 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라베넬리(Drechslera ravenellii)의 균주인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42(FERM BP-2659)인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060(FERM BP-2657)인 방법.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이 드레크슬레라 포아(Drechslera poa.)의 균주인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MH-0122(FERM BP-2655)인 방법.
KR1019890016893A 1988-11-21 1989-11-21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 및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잡초의 방제 방법 KR920005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92466 1988-11-21
JP63-292466 1988-11-21
JP29246688 1988-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330A KR900007330A (ko) 1990-06-01
KR920005566B1 true KR920005566B1 (ko) 1992-07-09

Family

ID=1778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893A KR920005566B1 (ko) 1988-11-21 1989-11-21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 및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잡초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374499B1 (ko)
KR (1) KR920005566B1 (ko)
CN (1) CN1027671C (ko)
AU (1) AU608182B2 (ko)
CA (1) CA2003461C (ko)
DE (1) DE6891291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2573A (en) * 1988-11-21 1994-07-26 Mitsui Toatsu Chemicals Inc. Strains of Drechslera ssp for controlling grass
CA2044369C (en) * 1990-06-13 1997-05-20 Masatoshi Gohbara Strains of drechslera spp. and weed control agents and weed contro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NZ240576A (en) * 1990-11-16 1992-11-25 Crop Genetics Int Controlling weeds by treating with a herbicide in combination with a culture medium in which microorganisms have grown
US5271932A (en) * 1991-08-30 1993-12-21 Mycogen Corporation Xanthomonas campestris isolates and methods of use
US5192541A (en) * 1991-08-30 1993-03-09 Mycogen Corporation Weed killing xanthomonas campestris
WO1993005656A1 (en) * 1991-09-17 1993-04-01 Japan Tobacco Inc. Novel microorganism, weedkiller containing same, and weed control by using same
US5434121A (en) * 1993-03-25 1995-07-18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Variety of Drechslera monoceras, weed contro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s an effective ingredient and weed control methods using the same
US6172003B1 (en) 1996-10-31 2001-01-09 Mitsui Chemicals, Incorporated Strains of drechslera monoceras and weed contro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6696A1 (de) * 1983-12-23 1985-07-04 Basf Ag, 6700 Ludwigshafen Herbizide mittel auf basis von dichlorchinolinderivaten
US4606751A (en) * 1984-12-07 1986-08-19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Biological method of controlling johnson grass and similar weeds in agricultural crops
CA1286121C (en) * 1985-06-21 1991-07-16 Jerry D. Caulder Synergistic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microbial herbicides and chemical herbicides or plant growth regu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604A (zh) 1990-07-11
DE68912912T2 (de) 1994-05-19
CA2003461C (en) 1997-09-16
KR900007330A (ko) 1990-06-01
AU608182B2 (en) 1991-03-21
EP0374499B1 (en) 1994-02-02
DE68912912D1 (de) 1994-03-17
EP0374499A1 (en) 1990-06-27
CA2003461A1 (en) 1990-05-21
CN1027671C (zh) 1995-02-22
AU4542889A (en) 199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6321B1 (en) Use of streptomyces wyec 108 to control plant pathogens
WO2005059112A1 (en) The novel bacillus amyloliquefaciens ktgb0202 and control method of plant pathogenic funzi using that
FI95598B (fi) Mikro-organismi kasvitautien biologiseen torjuntaan
KR920005566B1 (ko)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잡초방제 조성물 및 드레크슬레라종(Drechslera spp.) 또는 이것의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잡초의 방제 방법
WO2018194199A1 (ko)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US5082489A (en) Composition for biocontrol of wild buckwheat
JP5515098B2 (ja) レカニシリウム・マスカリウムv−5菌株、該菌株を用いた害虫の防除方法、並びに該菌株を含有する微生物農薬
CN105695344A (zh) 棒束孢微菌核的培养方法及其应用
KR100914451B1 (ko) 곤충병원성 레카니실리움 어테뉴에이튬 cnu-23, 및 이를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제 및 방제방법
KR20020031961A (ko) 길항미생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카슈겐시스 지비에이-0927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난시들음병 및 오이 흑성병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
CA2141413A1 (en)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lletotrichum and its uses
JP2962748B2 (ja) ドレックスレラ属菌又はその代謝産物を含有する雑草防除剤及びそれらによる雑草防除法
WO2000015761A1 (en) Novel bacterial strains and methods of controlling fungal pathogens
CN108624514B (zh) 一株m5-2佩立金平脐蠕孢Bipolaris peregianensis及其应用
EP0277736B1 (en) Fungal herbicides
KR100403896B1 (ko) 채소류 모잘록병균에 길항하는 바실러스 에히멘시스
JP3073263B2 (ja) ドレックスレラ属の新菌株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雑草防除剤
CN114561298B (zh) 埃利青霉在防治植物害虫中的应用和防治方法
US5434120A (en) Ustilago trichophora mycoherb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0296057A2 (en) Fungal herbicide for control of lamb's quarters and other chenopodium weeds
KR100269417B1 (ko) 아스코키타속에 속하는 미생물 및 그 용도
KR20020089919A (ko) 곰팡이성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미생물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R100227573B1 (ko) 아스코치타속에 속하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JPH04370090A (ja) ドレックスレラ属の新菌株及びそれを含有する雑草防除剤
KR100427410B1 (ko) 신균주 미로쎄시움 로리둠 f000252(kctc 0980bp)및 이를 함유한 생물농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